주체는 국토교통부"라고 했다
페이지 정보
본문
때문"이라며 "이 경우 책임 주체는 국토교통부"라고 했다.
▲ ▲참사 피해 키운공항시설물 3일 오후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에서 방위각시설(로컬라이저)에 충돌한 제주항공 여객기 엔진 인양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지적된 방위각시설(로컬라이저)의 기반이 된 콘크리트 구조물(둔덕)과 관련해 항공 안전 주무 부처인 국토교통부가 전국의공항시설에 대한 전수조사에 착수했습니다.
또 방위각시설지지대의 재질과 활주로부터의 거리 등에 대한 국내외 기준 부합성 여부를.
열 화상 카메라가 설치된공항도 김포, 김해, 제주공항등 3개에 불과했다.
이에 박용갑 의원은 '공항시설법 개정안'에 국토부장관이공항에 조류 탐지 레이더, 열화상 카메라 등 조류 충돌 방지시설설치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았다.
상황에서 무리하게 운항을 허가하고 관리를 철저히 하지 않은 데서 기인한 인재임이 확인되고 있는 셈이다.
국내 15개공항에서 항공기가 하루 2000여회 이착륙 중이다.
다른공항들도공항시설이나 운영, 항공기 정비에 문제가 없는지 대대적인 실태조사가 시급.
로컬라이저)이 부서지기 쉽도록 설계하라는 조건을 걸었던 것으로 31일 나타났다.
지난 2020년 3월3일 입찰 공고된 '무안공항등 계기착륙시설개량사업 실시설계 용역'의 과업내용서에는 과업 범위로 'Frangibility(파손성·부서지기 쉬움) 확보 방안 검토'가 적시.
법안을 발의해 ‘뒷북 입법’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2일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제주항공 참사 발생 이후 총 2건의공항시설법 개정안이 발의됐다.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 발의한 법안은 이번 참사의 핵심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로컬라이저 등.
더불어민주당 김정호 의원은 "김해공항의 방위각 안전시설하단 콘크리트 지지대가 60~85cm가량 지상에서 돌출된 것으로 확인됐다"며, "항공기의 동체 착륙.
국토부는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종완 항공정책실장 주재로 제주항공 참사 관련 브리핑을 갖고 "전국공항을 대상으로 한 항행안전시설현지 실사를 오늘 시작했다"며 "(실사는) 1월 8일까지 예정돼있다"고 밝혔다.
실사 대상은 활주로 주변 항행안전시설.
로컬라이저 지지시설이 돌출 모양으로 된데다 견고한 콘크리트로 만들어져 인명피해를 키웠다고 지적한다.
특히공항활주로 주변시설은 항공기와 충돌에 대비해 유연한 재질로 돼야 한다는 것이 국제적 규정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위반이라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국토부는 전날 보도참고자료를 통해 "(로컬라이저가) 관련규정에 맞게 설치됐다"며 "무안공항로컬라이저가 종단안전구역(199m)에서 벗어나 설치돼 있었기 때문에 규정은 적용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공항시설법에 따른 항행.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